본문 바로가기
  • 이주여성 역량강화
  • 미얀마 민주화 운동 지지
  • 유학생 장학금 지원
소식

<공동모금회 배분사업> 이주배경청소년 성장기회 격차해소 지원사업 "유튜브 제작" 프로그램 사업 보고.

by 아시아이주여성센터 2024. 8. 19.

 

1. 프로그램명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사업 역량강화프로그램 "유튜브제작" 

 

2.사업 기간 : 2024년 7월 25일~8월9일 (매주 목요일, 금요일)

 

3. 프로그램 장소 : 전주시 평생학습관 102호실.

 

4. 프로그램 대상 및 인원 : 유튜브 제작에 관심있는 이주배경 청소년 15명.

 

5. 프로그램 내용 : 유튜브 제작 및 유튜브 채널 운영관리 등 교육비 지원.

 

6. 프로그램 일정 / 내용 / 강사 

날짜 시간 내용 강사
2024년 7월 25일(목) 13:00 ~ 16:00 1. 템플릿을 이용한 자기소개 2. 마인드맵을 통한 자기 자신 알기 
3. 레퍼런스 찾기 4. 영상 기획 및 질문 만들기
김희영 강사
2024년 8월 1일(목) 13:00 ~ 16:00 1. 영상 편집 기술 배우기 - 자막넣기, 자막음성화, BGM넣기
2. 영상 기획 - 질문 만들기, 의견 조율, 촬영순서정하기
3. 영상 촬영 4. 편집 실습
김희영 강사
2024년 8월 2일(금) 13:00 ~ 16:00 1. 영상 기획서 작성 
2. 편집 기술 배우기 - 애니메이션효과, 오버레이, 스티커 사용
3. 무료 이미지 / 영상 사옹법 - 화면녹화, 라이브러리, 픽사 베이
4. 영상 촬영 / 무료 소스 다운로드 5. 장비 소개 6. 영상 편집
김희영 강사
2024년 8월 6일(화) 13:00 ~ 16:00 1. 촬영본 확인
2. 영상 편집 기술 배우기 - 키프레임, AI이미지만들기, AI포스터제작  3. 개인 영상 편집 4. 조별 영상 기획하기 
5. 영상 같이 보기
김희영 강사
2024년 8월 8일(목) 13:00 ~ 16:00 1. 라이브 커머스의 이해 2. 제품 소구점 찾기
3. 방송 큐시트 작성 4. 라이브 커머스 방송 5. 실제 방송 보기
권경순 강사
2024년 8월 9일(금) 13:00 ~ 16:00 1. 조별 영상 기획서 작성 
- 1조 : 베트남 음식 소개 / 2조 : 떡볶이를 먹으며 각 컨셉별로 음식 맛 표현 
2. 영상 촬영 3. 개인 편집 4. 조별 영상 편집
5. 영상 함께 보기 / 영상 평가
김희영 강사

 

7. 프로그램 활동 사진              

1회기 프로그램 중 템플릿을 이용한 자기소개 장면
강사님의 편집 강의를 들으며 열심히 따라하는 학생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각자 선택한 영상 주제로 촬영하는 모습
다른 친구들이 직접 촬영한 영상을 감상 중인 학생들

 

라이브커머스 쇼호스트 체험을 이용해 자신의 유튜브채널을 소개하는 학생

 

조별로 만든 동영상에 대해 팀원이 나와 설명하는 장면 (2조)

 

조별로 만든 동영상에 대해 팀원이 나와 설명하는 장면 (1조)
1조 조별 활동
2조 조별 활동
회기를 마무리하며 참여한 학생들과 강사님과의 단체사진

 

8. 프로그램 소감 

 : 1회기부터 6회기까지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표현 방식으로 영상 제작 과정이 진행되었습니다. 당초 계획했    던 내용들은 이주배경청소년들의 이야기를 담은 영상 한 편을 제작하는거였으나, 학생들의 의견으로 계획 내용이 자유롭    게 변경되었습니다.

 

 학생들은 강사님께서 알려주신 편집 기법으로 본인들의 만들고 싶은 주제로 자유롭게 영상을 제작하고 싶어하였으며, 그   결과 학생들의 만족도와 재미도는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학생들은 처음에 영상 편집이라고 하는게 너무 어렵게 느껴   지고 지루할 것 같다고 많이 생각하였으나 회기가 거듭될수록 서로 잘 만들고 싶어하는 경쟁심을 느끼기도하며 오히려 긍   정적인 결과를 가져 올 수 있었습니다.

 

 학생들은 유튜브 제작 프로그램을 통해 유튜브 채널을 만들어 자신만의 일상을 올리기 시작한 친구도 생겼으며, 본인이   좋아하는 아이돌 소개 영상을 만들어 틱톡에 올리는 친구들도 생겼습니다. 이처럼 학생들의 자유로운 의견과 학생들의 시   선에 프로그램을 맞추니 참여자들의 만족도는 높았으며 그룹활동을 통해서 '너는 어떤 나라의 다문화가정이야?' 라고 물   으며 서로 이주배경이 된 나라들을 말하며 친밀도를 쌓는 모습도 자연스레 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   들의 영상편집실력은 물론 요즘 청소년들은 어떠한 관심도가 높고 어떤 고민이 있는지도 알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던 것   같습니다.

 

 이주배경청소년들의 이야기를 담은 영상제작의 결과물은 학생들의 의견에 의해 만들어지지 못하였지만, 덕분에 강사님   과  학생들의 많은 이야기를 통해 요즘 이주배경청소년친구들에 대한 고민과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는 시간이 많이 생긴   것 같아 더 뜻깊었던 프로그램이었던 것 같습니다.

댓글